커뮤니티

묻고답하기

지하 1,200m 암반에서 솟아나는 청정 순창 강천온천수로
가족과 함께, 연인과 함께 몸과 마음을 힐링하세요

서울시 조사 결과...강남구 공동 65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4-19 03:35

본문

서울시 조사 결과...강남구 공동 65개50년 이상 하수관 비율 종로구 53%민주 "서울시 지반 침하 자료 공개해야" ◆…서울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에서 싱크홀(땅 꺼짐)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연합뉴스 잇따른 싱크홀 발생으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가 실시한 조사에서 300여 곳 이상이 공동(도로 아래 빈 공간) 구간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17일 MBC보도에 따르면 서울시 조사 결과 329곳에서 도로 아래 20cm 이상의 공동(도로 아래 빈 공간)이 발견됐다. 이 가운데 65개가 강남구에 집중됐으며 서초구 25개, 송파구 20개, 강동구 12개로 확인됐다. 한강이 범람하던 지역을 모래와 자갈로 매립하다보니 오래전부터 지반이 타 지역에 비해 약하다고 지적된 곳들이다. 지반 침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노후된 하수관 교체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서울시 등의 자료를 보면 30년 이상 하수관 비율은 종로구(66.3%), 도봉구(66.2%), 용산구(65.2%), 영등포구(63.6%), 서초구(63.2%) 등의 순이었다. 50년 이상 된 하수관 비율은 종로구가 53.5%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용산구(48.5%)와 성북구(47.7%), 영등포구(45.7%), 마포구(45.4%), 구로구(43.5%), 성동구(42.2%)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발견된 공동 329곳 중 247곳은 발견 즉시 채움재를 주입해 복구했고, 나머지 82곳도 12월까지 굴착 복구를 마쳤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건설 공사나 지하터널 공사로 인해 주변 지반이 약해지면서 싱크홀이 더 많이 발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수곤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18일 YTN 라디오 '신율의 뉴스정면승부'에서 "지질을 잘 모르는 상태에서 지하를 개발하고 공사하는 것은 운전하면서 내비게이션 없는 거와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형 토목 공사의 경우 사전에 터널노선을 따라 시추조사를 한 번 하고 100m 간격서울시 조사 결과...강남구 공동 65개50년 이상 하수관 비율 종로구 53%민주 "서울시 지반 침하 자료 공개해야" ◆…서울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에서 싱크홀(땅 꺼짐)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연합뉴스 잇따른 싱크홀 발생으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가 실시한 조사에서 300여 곳 이상이 공동(도로 아래 빈 공간) 구간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17일 MBC보도에 따르면 서울시 조사 결과 329곳에서 도로 아래 20cm 이상의 공동(도로 아래 빈 공간)이 발견됐다. 이 가운데 65개가 강남구에 집중됐으며 서초구 25개, 송파구 20개, 강동구 12개로 확인됐다. 한강이 범람하던 지역을 모래와 자갈로 매립하다보니 오래전부터 지반이 타 지역에 비해 약하다고 지적된 곳들이다. 지반 침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노후된 하수관 교체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서울시 등의 자료를 보면 30년 이상 하수관 비율은 종로구(66.3%), 도봉구(66.2%), 용산구(65.2%), 영등포구(63.6%), 서초구(63.2%) 등의 순이었다. 50년 이상 된 하수관 비율은 종로구가 53.5%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용산구(48.5%)와 성북구(47.7%), 영등포구(45.7%), 마포구(45.4%), 구로구(43.5%), 성동구(42.2%)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발견된 공동 329곳 중 247곳은 발견 즉시 채움재를 주입해 복구했고, 나머지 82곳도 12월까지 굴착 복구를 마쳤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건설 공사나 지하터널 공사로 인해 주변 지반이 약해지면서 싱크홀이 더 많이 발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수곤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18일 YTN 라디오 '신율의 뉴스정면승부'에서 "지질을 잘 모르는 상태에서 지하를 개발하고 공사하는 것은 운전하면서 내비게이션 없는 거와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형 토목 공사의 경우 사전에 터널노선을 따라 시추조사를 한 번 하고 100m 간격으로 지질조사를 한다"며 "문제는 지질이 1미터마다 변화무쌍한데 100m 사이에 지반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추정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전 교수는 또 현재 시행 중인 GPR(지하레이더 탐지기) 탐사는 땅꺼짐 예방에 한계가 있다고 짚었다. 그는 "GPR 탐사는 지표면에서 지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