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묻고답하기

지하 1,200m 암반에서 솟아나는 청정 순창 강천온천수로
가족과 함께, 연인과 함께 몸과 마음을 힐링하세요

우원식 국회의장,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4-17 16:52

본문

우원식 국회의장, 미 의회 코리아스터디그룹 방한단 접견 (서울=연합뉴스) 우원식 국회의장(가운데)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아미 베라, 제니퍼 키건스 하원의원 등 미국 의회 코리아스터디그룹(CSGK) 방한단을 접견하고 있다. 2025.4.17 [국회의장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한주홍 기자 = 우원식 국회의장은 17일 미국 의회 코리아스터디그룹(CSGK) 방한단을 접견하고, 한미동맹과 경제·안보 협력 강화 등 현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우 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접견실에서 아미 베라, 제니퍼 키건스 하원의원 등을 만나 "한국은 미국의 최대 투자국으로 미국 내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양국 경제는 아주 긴밀히 연결돼 있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미 관세 정책과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반도체법 등과 관련한 정책 변화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있고, 비자 쿼터 법안, 민감국가 지정 등도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이에 방한단은 "매우 어려운 협상이 있겠지만, 협상을 마치고 나면 양국은 더 가까워질 것"이라며 "특히 경제·안보 협력 측면에서 조선 분야 협력이 양국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우 의장은 "한미동맹은 민주주의 핵심 가치를 토대로 지난 70년간 끊임없이 발전해 온 혈맹 관계"라며 "동맹이 안보, 경제는 물론 과학·기술·공급망 등 산업 전반과 국제 무대로까지 전례 없이 확장된 데는 양국 의회의 초당적 지지가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아울러 "한국은 헌법과 법률에 따라 질서를 유지하며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며 "지난해 12월 (계엄 사태 당시) 미 의회가 보여준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지지와 굳건한 한미동맹 강조에 감사를 표한다"고 말했다.방한단은 "계엄 선포 후 한국이 민주적 절차를 준수하는 모습이 굉장히 자랑스러웠다"고 밝혔다.우 의장이 국회의 '한미의원연맹'에 상응하는 미국 의회의 법적 기구 발족에 대한 관심을 요청하자, 방한단은 의회 간 대화를 위한 공식 기구 설립과 양국 의장 간 면담에 지속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답했다.juhong@yna.co.kr▶제보는 카톡 okjebo 지난해 9월9일 서울 중구 저동 인권위 앞에서 안창호 위원장의 혐오 발언에 대해 항의하며 사퇴를 요구하는 인권단체 회원들. 김영원 기자 forever@hani.co.kr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가 올해 사이버 인권교육과정에서 유일하게 폐기한 ‘차별금지의 이해-차별금지법 왜 필요한가’(차별금지의 이해)가 지난해 성차별 예방 분야 과목 중 최고의 수강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권위는 올해부터 누리집에 있는 41개 사이버 인권 강의 중 차별금지의 이해만 폐기한 바 있는데, 차별금지법에 부정적 견해를 피력해 온 안창호 인권위원장 의중이 반영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다.한겨레가 17일 확인한 인권위의 2026년 성인지 부문 예산서(안)에 포함된 2024년 성인지 결산서 평가결과를 보면, ‘차별금지의 이해’는 성평등 및 성희롱 예방 사이버 교육 콘텐츠 5개 중 1만8595명이 수강해 가장 많은 시민이 본 강의로 나타났다. 이는 2024년 한해 전체 성차별예방과정 수강자 5만4711명의 34%에 해당한다. 성희롱 예방교육 1만4206명, 표현의 자유와 차별금지 1만1488명, 성평등 교육 5697명, 차별예방 교육 4725명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차별금지의 이해’는 2020년 제작된 1시간짜리 동영상 강연으로, 이준일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전 비상임 인권위원)가 진행했다. 2022년 인권위 사이버 인권교육 콘텐츠 분석 연구용역에서 “누구든지 차별금지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구성하였다”는 우수한 평가를 받기도 했는데, 수강실적을 통해서도 대표 강연임이 입증된 셈이다.사정이 이런데도 인권위는 지난 3월 누리집에 있는 ‘인권교육센터'의 사이버 인권교육과목 41개 중 차별금지법(평등법) 내용 전반을 설명하는 ‘차별금지의 이해'만 폐기한 바 있다. 이에 취임 전부터 극단적 표현을 동원해 차별금지법을 비난해온 안창호 위원장의 의중이 반영된 게 아니냐는 의혹이 뒤따랐다. 당시 인권위 담당 과장은 한겨레에 “해당 콘텐츠가 ‘차별예방교육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