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묻고답하기

지하 1,200m 암반에서 솟아나는 청정 순창 강천온천수로
가족과 함께, 연인과 함께 몸과 마음을 힐링하세요

농림축산검역본부, 외래 병해충·가축전염병 유입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5-05-18 20:35

본문

농림축산검역본부, 외래 병해충·가축전염병 유입 차단 총력 검역관들이 소맥분 8000톤이 실린 선창에서 채를 이용해 소맥을 육안으로 선별하는 방식으로 정밀 검사를 하고 있다./인천=박은평 기자 [더팩트ㅣ인천=박은평 기자] 15일 오후 인천항 앞바다에는 미국 워싱턴에서 출발한 선박이 정박해 있었다. 이 선박에는 소맥분 5만5000톤이 실려 있었다. 바다 위에서 검역관들이 승선해 병해충 검사를 실시하는 '선상 검역'을 받기 위해 대기 중이었다. 방진복을 갖춰 입은 검역관들은 병해충 검사를 위해 소맥분 8000톤이 실린 선창에 들어갔다. 좁은 통로를 지나 선창에 진입한 검역관들은 채를 이용해 소맥을 육안으로 선별하는 방식으로 정밀 검사를 시작했다. 선상 검역 대상은 전용선백으로 수입되는 옥수수, 밀, 대두 등을 위험도에 따라 선상에서 1~2회 검역이 이뤄진다. 검역관이 소맥분 8000톤이 실린 선창에서 채를 이용해 소맥을 육안으로 선별하는 방식으로 정밀 검사를 하고 있다./인천=박은평 기자 조규황 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검역1과장은 "소독을 잘해도 바다와 더운 지역을 이동하다 보면 습도 등의 문제로 해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수출입 검역을 비롯해 가축 질병방역, 동물 보호 및 관련 연구까지 농축산 방역 전반을 담당하고 있다. 김정희 검역본부장은 "여러 기능을 담당하지만 검역이 기본"이라며 "외래가축 질병.병해충으로부터 농업 환경을 보호하는 업무가 기본 소명"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방문한 중부지역본부는 고위험 가축전염병·해외병해충의 주요 발생지인 중국, 동남아시아와 인접해 선적 화물선 노선 비중이 90%에 달한다. 인청항, 평택항의 지리적 특징으로 컨테이너 등 수입 물품에 고위험 외래병해충 유입 가능성이 높다. 전국 농산물 수입량의 50%, 축산물은 11%를 차지해 유입단계 조기 확인을 위한 예찰체계 구축 및 확산 차단을 위한 방제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국경을 넘나드는 농축산물의 보이지 않는 위험을 막기 위한 검역관들의 수고는 매일 계속되고 있다. 검역관들은 국화절화 총 수량 22만본 중 1200본 이상 샘플을 채취해 나비목 18일 오전 10시께 광주 광산구 광주여자대학교 체육관에 이주민 대피소가 마련됐다. “아직 집에 못 가지만 지내는 데 큰 불편은 없어요.”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이틀째인 18일 오전 10시께 광주 광산구 광주여자대학교 체육관.금호타이어 공장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로 인근 주민 100여 명이 이곳으로 급히 대피했다. 아직 불이 완전히 잡히지 않은 상황에서, 체육관 안은 대피해 온 주민들은 재산 피해는 물론 건강 피해까지 우려하며 노심초사하고 있었다.광산구 월계동에서 한평생을 거주한 김준배 씨(86)는 “이렇게 가까이에서 큰 불이 난적은 처음이었다”며 고개를 저었다.김씨는 “아침에 근처 산책을 하고 집에 약을 가지러 갔더니 소방이 주변을 통제 하고 있어서 필요한 약만 가지고 나왔다”고 말했다.이어 “자는 데 불편함은 없었다. 이불, 양말, 속옷, 안대, 음식 등을 구호단체에서 생각보다 잘 챙겨줘 불편함은 딱히 없었다”고 덧붙였다.자녀와 함께 이곳에서 하룻밤을 보낸 이영숙 씨(69)는 “어제 오전 내내 검은 연기 속에서 고통을 겪다가 결국 집을 나왔다”며 “베란다 틈새를 뚫고 들어온 그을음에 양말이 까맣게 물들고, 머리가 지끈거리기 시작하자 더는 버틸 수 없었다”고 말했다.체육관 바닥 한쪽에서 아이스박스를 등지고 휴식을 취하던 이모 씨(54)는 “문을 두들겨서 뭔 일인가 하고 밖으로 나왔는데 불이 났다고 하더라”며 “집이 탈까 봐 걱정인데 불이 빨리 진화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발생 이틀째인 18일 공장이 검게 그을렸다. 대피소가 연기 피해권에 포함됐다는 지적도 나왔다. 대피소가 설치된 광주여대 체육관은 화재 현장에서 불과 2.7km 거리로, 일부 주민은 연기를 피해 대피소로 이동했다가 다시 친척 집으로 발길을 돌려야 했다. 정모(52) 씨는 “학교 올라가는 길 언덕에서도 연기가 내려앉아 있었고, 마스크를 썼는데도 계속 기침이 났다”며 “도저히 안 되겠어서 친척 집으로 바로 차를 돌렸다”고 전했다.‘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은 지자체가 각종 재난에 대비해 대피소를 지정하도록 하고 있지만, ‘화재 시 대피소는 몇 미터 이상 떨어져야 한다’는 거리나 입지 기준은 명시돼 있지 않다. 산림청과 소방청 지침에도 산불이나 화학 화재 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