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본문
<민주주의와 깃발> 전시 개막
<민주주의와 깃발> 전시 개막을 이틀 앞둔 지난 14일 서울 용산구 식민지역사박물관 외벽에 ‘윤석열 탄핵’ 집회 현장에서 사용된 각종 깃발들이 붙어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지난 16일 오후 5시 서울 중구 식민지역사박물관에는 ‘임을 위한 행진곡’, ‘다시만난세계’ 등 탄핵 촉구 집회 광장에서 들렸던 노래들이 다시 흘러나왔다. 시민 100여명이 전시장 바닥에 모여 앉아 ‘투쟁’, ‘윤석열을 처벌하라’고 외치며 노래를 따라 불렀다. 박물관 건물 외벽에는 수십 개의 깃발들이 나부끼고 있었다. ‘민주주의와 깃발’ 전시회 개막식은 마치 지난 겨울 ‘탄핵 집회’ 현장을 재연한 것처럼 보였다.이 전시는 시민단체 민족문제연구소 상근자들이 지난 1월부터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 광장에서 직접 시민들에게 시위용품 기증을 요청하면서 시작됐다. 시민들의 호응은 뜨거웠다. 518명의 시민·예술가들이 자신이 직접 들었던 시위용품, 직접 만든 작품 등을 기증했다. 약 2300점의 기증품이 모였고 그 중 일부가 이곳에 전시됐다. <민주주의와 깃발> 개막을 이틀 앞둔 14일 서울 용산구 식민지역사박물관 전시장에 ‘윤석열 탄핵’ 집회 현장에서 사용된 각종 물품이 전시되어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각 기증품에는 기증자의 사연과 소망이 적힌 글귀가 함께 놓였다. ‘내 나이 92세 내 평생 저런 놈 첨 본다. 당장 윤석열 그놈 파면해!’라고 손글씨로 적힌 손팻말에는 ‘3월22일 집회에서 저희 엄마가 들었던 피켓입니다. 달라진 세계가 우리 앞에 오길, 그것을 위해 누구나 함께 하게 되길 기대합니다’라는 기증자의 설명이 담겨 있었다.색색의 응원봉 40여개가 한 곳에서 형형색색으로 빛나는 모습도 장관이었다. NCT, 아이브 등 각종 아이돌 그룹의 응원봉 등이 개성을 뽐냈다. 이 응원봉들에는 ‘빛은 어둠을 뚫고 나가’ ‘윤석열 탄핵’ 등 탄핵과 파면, 새로운 세상을 염원하는 내용이 담겼다.예술 작품으로도 손색없는 기증품도 있었다. 미대생들이 광장의 17일 서울 역삼동 GS아트센터 로비에서 열린 마르코스 모라우의 ‘죽음의 무도’ 공연 모습. 사진 제공=GS아트센터 [서울경제] 어둠이 내리기 시작한 17일 저녁. 서울 역삼동 GS아트센터 3층 로비에서 입장을 기다리던 관객들 사이로 중세 유럽의 수도사 혹은 사신처럼 보이는 길고 검은 옷의 남성이 서서히 걸어 들어왔다. 그의 허리에는 총알 모양의 벨트가 감겼고 작은 종과 금속 메달 등 장신구가 매달려 걸음을 옮길 때마다 은은한 종소리가 울렸다. 사신의 낫 대신 기다란 붐 마이크를 손에 쥔 남성은 긴 줄을 선 관객 사이를 이동하며 때로는 마이크를 관객에게 향하기도 했다. 지금부터 죽음의 세계로 초대하겠다고 말하는 듯한 그의 몸짓을 따라 관객들도 자연스레 검은 장막이 드리워진 비일상의 공간으로 들어섰다.유럽 공연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예술가 중 한 명인 스페인의 안무가 마르코스 모라우의 최신작 ‘죽음의 무도 : 내일은 물음이다’는 이처럼 시작부터 특별한 인상을 남겼다. ‘죽음의 무도’는 흑사병이 창궐했던 중세 유럽에서 유행했던 죽음(해골)이 춤추는 도상 ‘토텐탄츠(Totetanz·죽음의 춤)’를 현대의 무용 언어로 소환한 작품이다. 특히 ‘죽음 앞에서는 모두가 평등하다’는 토텐탄츠의 철학을 강조하기 위해 무대가 아닌 장소에서 열리도록 기획됐다. 무대의 높낮이를 없애 관객과 무용수가 같은 눈높이에서 호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난해 이탈리아 밀라노 박물관에서 초연된 작품은 스페인의 레이나 소피아 미술관과 카탈루냐 성당 등 다양한 장소에서 공연되며 호평을 받았다. 17일 서울 역삼동 GS아트센터 로비에서 열린 마르코스 모라우의 '죽음의 무도' 공연 모습. 사진 제공=GS아트센터 이번에는 도심 빌딩 속 로비라는 새로운 장소에서 어떤 맥락의 춤을 선보일지 관심이 쏠렸다. 제작진의 선택은 로비의 일부에 검은 장막을 설치해 의식을 위한 공간을 새로이 창출하는 것이었다. 대형 박물관이나 미술관과 비교해 넓지 않은 공간이지만 그만큼 관객들과 무용수 간의 거리는 좁혀졌다. 무용수들의 호흡과 옷자락이 펄럭이는 소리까지 들릴 정도로 가까웠다. 실제 무용수들도 공연 중 관객에 다가가 손을 맞잡거나 물건을 건네고 때로는 관객의 손을 이끌어 심장 박동을 느끼게 하는 식으로 교감하며 몰입을 이끌었다.
<민주주의와 깃발> 전시 개막
- 이전글경상북도 김천시 약물(중절)낙태수술병원 산부인과비용(상담) 임신초기 약물로임신중단하는 임신중절약 낙태제품 미프진 25.05.19
- 다음글속초 러브약국 | 온라인 약국 【 veBb.top 】 25.05.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